공식 국명은 네덜란드왕국(Kingdom of the Netherlands), 수도는 암스테르담(Amsterdam), 정부소재지는 헤이그(The Hague)
면적은 41,865㎢(한국의 40%)으로 유럽 대륙 북서쪽에 위치한 구주 본토와 이에 편입된 3개 도서(보나이레, 사바, 신트위스타튀스) 및 3개 카리브해 자치령(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틴)으로 구성
인구는 약 1,792만명으로 한국의 3분의 1 수준(2023.10월 기준)
정부형태는 입헌군주제 하 내각책임제
의회는 상‧하원 양원제로 하원의원(150명) 및 상원의원(75명) 구성
사법부는 대법원, 항소법원 및 지방법원으로 구성되며, 사법권의 독립성은 헌법으로 보장
GDP는 9,937억 달러(2022년 기준, 세계 18위, IMF)이며, 1인당 GDP는 5만 6,490달러(2022년 기준, 세계 13위, IMF)
종교는 가톨릭교(18.2%), 개신교(13.2%), 이슬람교(5.6%) 순이며, 무종교(57.2%)도 상당히 높은 비율 차지
네덜란드어를 모국어로 하나, 영어가 통용될 정도로 상당히 높은 수준의 영어 구사능력 보유
(정치) 2024.7.2.(화) 딕 스코프(Dick Schoof) 신임 총리 및 각료들이 빌렘-알렉산더(Willem-Alexander) 국왕 앞에서 선서 및 취임식을 거행함으로써 신정부 공식 출범
정당명 | 의석수 |
---|---|
자유당(PVV) | 37 |
녹색당-노동당(GL-PvdA) | 25 |
자유민주당(VVD) | 24 |
신사회계약당(NSC) | 20 |
D66당 | 9 |
농민시민당(BBB) | 7 |
기독민주당(CDA) | 5 |
사회당(SP) | 5 |
민주포럼(FvD) | 3 |
동물보호당(PvdD) | 3 |
기독교연합(CU) | 3 |
개혁정치당(SGP) | 3 |
DENK당 | 3 |
VOLT당 | 2 |
JA21당 | 1 |
150 |
정당명 | 의석수 |
---|---|
농민시민당(BBB) | 16 |
녹색당-노동당(GL-PvdA) | 14 |
자유민주당(VVD) | 10 |
기독민주당(CDA) | 6 |
D66당 | 5 |
자유당(PVV) | 4 |
사회당(SP) | 3 |
기독교연합(CU) | 3 |
동물보호당(PvdD) | 3 |
JA21당 | 3 |
민주포럼(FvD) | 2 |
개혁정치당(SGP) | 2 |
VOLT당 | 2 |
50PLUS당 | 1 |
OPNL | 1 |
75 |
(경제) 세계 18위 경제 대국으로서 코로나 시기인 2020년에는 -3.8% 역성장을 하기도 했으나 2021년부터 4.6~4.8%대의 성장을 통해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
구분 | GDP(억불, IMF) | 경제성장률(%) | 물가상승률(%) | 실업률(%) |
---|---|---|---|---|
2018 | 9,145 | 2.4 | 1.6 | 4.9 |
2019 | 9,103 | 1.8 | 2.7 | 3.4 |
2020 | 9,091 | -3.9 | 1.1 | 4.9 |
2021 | 10,135 | 4.9 | 2.8 | 4.2 |
2022 | 9,937 | 4.5 | 11.6 | 3.5 |
(대외정책) 헌법상 국제법 질서의 발전을 정부의 의무로 명시하는 등 국제규범을 통한 국가간 분쟁의 평화적 해결과 국제규범 질서 확립을 강조하며, 다자외교에서 위상 강화와 국제기구 유치 정책 적극 추진
네덜란드 선원 얀 얀슨 벨테브레(박연)와 하멜이 각 1627년, 1653년에 제주도에 표착한 사건, 고종이 1907년 제2차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을사늑약의 무효를 알리기 위해 3인의 특사(이상설, 이준, 이위종)를 파견한 헤이그 특사 사건은 한국인들에게 네덜란드를 인식시킨 역사적 사실
네덜란드는 양국 수교 전임에도 한국전에 16개 UN 참전국 중 하나로 참전, 5,322명의 군인을 파병하여 공산주의의 침략에 맞서 한국의 자유와 안전을 함께 수호했던 전통적 우방국가
한-네 양국관계는 2022.11월 루터 총리 방한 계기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2023.12월 양국 수교 이래 최초로 우리 대통령의 네덜란드 국빈방문의 성공적 실시로 인해 △외교, 안보, 국방, 방산, △경제, 첨단기술, △문화, 인적교류 등 제반 분야에서 전략적, 미래지향적 협력 토대를 마련한바, 최상의 관계 도달
2022년 12월 기준, 네덜란드는 우리의 21위 교역대상국(수출 16위, 수입 21위)으로서, EU 27개국 내에서는 독일에 이은 2위
주요 수출 품목은 제트유 및 등유, 전산기록매체, 합금철, 합성수지 등, 수입 품목은 반도체제조용장비 및 부품, 낙농품, 가축육류, 나프타 등
EU 회원국 중 對한국 투자 1위 국가가 네덜란드이며, 한국의 對EU 투자대상국 중 2위 국가가 네덜란드
EU의 對韓투자(‘62~‘23.3, 억불) : ①네덜란드 380, ②몰타 239, ③독일 181 / 영국 210
한국의 對EU 투자(‘80~‘22, 억불) : ①룩셈부르크 399, ②네덜란드 224, ③아일랜드 99
네덜란드 내 재외동포 현황(2023년): 9,398명(재외국민 4,126명, 외국국적동포 5,272명)